반응형

a (Anchor)태그 기본 사용 방법

a 태그 href 속성에 mailto:를 접두사로 사용합니다. 여러 사람에게 메일을 보내려고 할 때는 받는 사람 사이에 ,를 추가해줍니다.

<a href="mailto:이메일주소">Send</a>

<a href="mailto:junhyeok419@naver.com">Send</a>

 

참조 및 숨은 참조

참조 받는 주소를 추가하고자 할 때는 cc를 추가합니다. 숨은 참조를 사용하려면 bcc를 추가해줍니다.

<a href="mailto:junhyeok419@naver.com?cc=junhyeok419@naver.com&bcc=junhyeok419@naver.com">Send</a>

 

제목 및 내용

제목을 추가하고자 할 때는 subject를 추가하며, 본문 내용을 추가할 때는 body를 추가합니다. ( :: %0D%0A를 사용하면 줄바꿈이 가능합니다. )

<a href="junhyeok419@naver.com?subject=Hello, Mailto&body=HelloWorld">Send</a>

 

 

:: 참조와 숨은 참조 뜻

메일을 보낼 때 필수요소는 보내는 사람, 내용, 받는 사람입니다. 보내는 사람은 수신인을 지정해야 메일을 보낼 수 있습니다. 이 중 메일을 받을 사람을 정하는 방법으로 수신(받는 사람)과 참조(숨은 참조)가 있습니다.

메일의 수신인은 반드시 내가 보내는 메일을 받아야 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따라서 보내는 사람은 수신인에게 의견을 전달하거나 회신을 받을 뚜렷한 목표를 갖고 메일을 보냅니다.

 

반면에 CC(Carbon Copy)는 영업용 편지에서 마지막부분에 그 편지의 사본이 어떤 사람들에게 전해졌다는 것을 적은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참조는 보내는 메일에 실린 내용이 참조자들에게도 전달되는 것을 바라며 보내는 기능입니다. 하지만 말 그대로 참조하는 것일 뿐 발신자와 수신자와 같은 커뮤니케이션의 주체는 아닙니다. 떄문에 참조 메일은 대부분 그 중요도가 수신 메일보다는 낮다고 평가됩니다.

 

숨은 참조는 수신자에게 참조인이 표시되지 않는 기능입니다.

반응형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HTML ] HTML 특수코드  (0) 2022.11.22
[ CSS / SCSS ] 반응형 정사각형 만들기  (0) 2022.09.29
[ HTML5 ] HTML5에서 추가된 요소들  (0) 2022.06.25
[ CSS ] IR기법  (0) 2022.04.28
[ CSS / SCSS ] SASS(SCSS) 컴파일하기  (0) 2022.03.28
반응형

요소 ( Elements )

HTML에서 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로 이루어진 모든 명령어들을 의미합니다.

 

태그 ( Tag )

요소의 일부로 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로 이루어진 모든 명령어들을 의미합니다.

 

의미 요소 ( Semantic Element )

의미요소란 그 자체로 의미를 갖고 있는 요소를 말합니다.

요소 스스로가 브라우저와 개발자 모두에게 자신이 사용된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해 주는 요소를 의미합니다.

 

div요소를 보면 개발자가 어떤 목적으로 사용했는지 코드를 봐야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의미 요소인 table요소는 코드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표를 만들기 위해 만드는데 사용되었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HTML5에서 추가된 의미 요소

  1. header
  2. nav
  3. main
  4. section
  5. article
  6. figure, figcaption
  7. footer

의미요소

 


 

header 요소

header요소는 HTML문서나 섹션부분에 대한 header를 정의합니다.

헤더는 도입부에 해당하는 콘텐츠나 네비게이션 링크의 집합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게 됩니다.

  • 하나 이상의 제목 요소 ( h1 ~ h6 )
  • 로고나 아이콘
  • 저장 정보
<header>
	<h1>
        <strong>제목입니다.</strong>
        <em><img src="로고.png" /></em>
    </h1>
    
    <p>저자 정보</p>
</header>

 

 

main 요소

main요소는 해당 문서의 body요소의 주 콘텐츠를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main요소의 콘텐츠는 해당 문서의 중심 주제 또는 주요 기능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거나, 확장되는 콘텐츠로 구성되어야 하며, 문서 전반에 걸쳐 반복되는 내용을 포함해서는 안됩니다.

따라서, 하나의 문서에는 하나의 main요소만 존재해야 하며, main요소는 다른 의미요소의 자손 요소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main>
    <h1>제목입니다.</h1>
    <section>
        <h2>섹션 제목</h2>
        <p>
            내용
        </p>
    </section>

    <section>
        <h2>섹션 제목</h2>
        <p>
            내용
        </p>
    </section>
</main>

 

 

nav 요소

nav요소는 HTML문서 사이를 탐색할 수 있는 링크의 집합을 정의합니다. nav요소는 링크의 커다란 집합을 의미하지만, 문서 내의 모든 링크가 nav요소에 포함되는 것은 아닙니다.

<nav>
    <ul>
        <li><a href="#">의미요소</a></li>
        <li><a href="#">의미요소</a></li>
        <li><a href="#">의미요소</a></li>
    </ul>
</nav>

 

 

section 요소

section요소는 내용적 흐름과 구조를 만들기 위해 내용을 나누는 용도입니다. 관련있는 내용을 section요소로 묶어 표시합니다.

보통 section요소는 제목을 포함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section>
    <h2>제목입니다.</h2>
    <p>
        내용부분입니다.
    </p>
</section>


<!-- 제목을 section 밖에서 사용할 때 -->
<h2>제목입니다.</h2>
<section>
    <p>
        내용부분입니다.
    </p>
</section>

 

 

article 요소

article요소는 독립적으로 구성된 글을 표시합니다. 본문과 별개로 구성되어 다른 영역에 영향을 주거나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배포되거나 재사용 할 수 있습니다.

게시판의 게시물, 블로그 포스트, 댓글, 위젯에 담긴 콘텐츠등이 article에 해당합니다.

<article>
    <h2>기사 제목입니다.</h2>
    <p>
        기사 내용입니다.
    </P>
</article>

 

:: section요소와 article요소를 보면 별다른 차이점이 없어보입니다. 실제로도 두 요소 간의 쓰임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습니다. 대체로 section요소는 HTML문서의 전체적인 내용에 포함되며, article요소는 문서의 전체적인 내용과 별도의 독립적인 내용이 들어갈 때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figure 요소와 figcaption 요소

책이나 신문에 포함되는 이미지 바로 아래에는 해당 이미지를 설명하는 캡션이 위치하게 됩니다.

HTML5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 figure요소와 figcaption요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figure요소는 HTML문서에서 그래픽과 비디오 등의 독립적인 콘텐츠를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figcaption요소는 위와 같은 figure요소를 위한 캡션을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figure>
    <img src="이미지.png" alt="이미지 제목" />
    <figcaption>이미지 설명을 위한 부분입니다.</figcaption>
</figure>

 

 

footer 요소

footer요소는 HTML문서나 섹션 부분에 대한 푸터를 정의합니다.

HTML문서의 푸터에는 일반적으로 사이트의 작성자, 저작권 정보, 연락처, 회사명 등을 명시합니다.

또한, 한 문서 내에 여러 footer요소가 존재 할 수 있습니다.

<footer>
    <ul>
        <li><a href="#">정보</a></li>
        <li><a href="#">정보</a></li>
        <li><a href="#">정보</a></li>
        <li><a href="#">정보</a></li>
    </ul>
    
    <p>
        Copyright 2022. shiro all rights reserved
    </p>
    <p>
        연락처 : 02-1234-1234
    </p>
</footer>

 

반응형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HTML ] HTML 특수코드  (0) 2022.11.22
[ CSS / SCSS ] 반응형 정사각형 만들기  (0) 2022.09.29
[ HTML5 ] Anchor 태그 mailto 사용하기  (0) 2022.06.30
[ CSS ] IR기법  (0) 2022.04.28
[ CSS / SCSS ] SASS(SCSS) 컴파일하기  (0) 2022.03.28
반응형

IR기법이란 ?

이미지의 대체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CSS기법

:: 웹 접근성의 일환으로, 그림을 보는데 불편함이 있어 리더기를 통해 웹 문서에 접근하기 위한 필수요소이다.

 

IR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 <img />태그의 alt속성 값으로 표현하기에 대체 텍스트가 너무 길 때
  • CSS background-image속성을 사용해 처리한 이미지 일 때

 

이미지의 텍스트가 너무 긴 상황

<div class="ir_bl">
    대체 텍스트가 너무 길어서 alt에 담기 힘들때 이런식으로 텍스트를 분리하고 css로 이 부분을 숨김 처리해준다.
</div>
<img src="1.jpg" alt="" />
.ir_bl {
    position: absolute; /* position: absolute/fixed 에서만 clip 속성 작동 */
    margin: -1px; /* 부트스트랩에선 안씀 */
    width: 1px;
    height: 1px;
    padding: 0;
    border: 0;
    white-space: nowrap;
    overflow: hidden; /* overflow: visible 이면 clip 속성 작동 안됨 */
    clip: rect(0, 0, 0, 0);
    clip-path: inset(50%); /* H5BP에선 안씀 */
}

 

CSS의 백그라운드를 이용할 때

<div class="bg_image ir_pm">Phark Method</div>
.bg_image {
    background-image: url("1.png");
}

.ir_pm {
    display: block;
    overflow: hidden;
    font-size: 0;
    line-height: 0;
    text-indent: -9999px;
}

 

반응형
반응형

VS Code에서 SCSS 사용하기

 

1. VS Code 마켓플레이스에서 확장프로그램 설치하기

 

Sass와 Live Sass Compiler 설치하기

 

SASS를 검색하여 Sass와 Live Sass Compiler를 설치한다.

 

2. 오른쪽 아래 Watch Sass와 Go Live를 활성화 할 수 있게 된다.

 

Watch Sass / Go Live 활성 가능상태

 

Watch Sass를 클릭하면 Watching상태가 되며, Go Live를 클릭하면 포트번호로 바뀌면서 웹페이지가 실행된다.

 

Watch Sass / Go Live를 활성화한 상태
웹 페이지 포트번호

 

위 상태로 SASS / SCSS파일을 생성하고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을하면 아래처럼 .map파일과 .css파일이 같이 생성되며, 웹페이지를 새로고침할 필요도 사라진다. ( 자동으로 새로고침이 된다. )

 

.map .css파일 생성

 

이렇게 혼자 사용을 하면 이대로 사용해도 전혀 문제될 일이 없다.

하지만 보기에 좋지않고, 코드가 꼬여버릴 수 있다.

이걸 방지하기 위해 settings.json을 생성하고 내용을 추가해 주었다.

 

3. Settings.json 생성

 

윈도우는 Ctrl + , Mac은 Command + , 를 VS Code내에서 입력하면 아래처럼 설정창이 열린다.

:: Workspace(작업영역) > Live Sass Compile Config > settings.json에서 편집하기를 클릭
settings.json이 활성화된다.

 

 

처음 생성하면 { } 객체모양 하나만 나와 있는데 아래와같이 세팅을 해주면된다.

 

{
    "liveSassCompile.settings.formats": [
        {
            // expanded스타일의 .css로 컴파일
            "format": "expanded",
            
            // 컴파일된 파일 확장자를 .css로 지정
            "extensionName": ".css",
            
            // 저장경로
            "savePath": "~/../"
        },
        {
            // compressed스타일의 .min.css로 컴파일 ( 압축파일 )
            "format": "compressed",
            
            // 컴파일된 파일 확장자를 .min.css로 지정
            "extensionName": ".min.css",
            
            // 저장경로
            "savePath": "~/../"
        },
    ],
    
    // .map파일 생성 유무
    "liveSassCompile.settings.generateMap": false,
    
    // 지정한 폴더 내에 있는 scss파일만 컴파일
    "liveSassCompile.settings.includeItems": [
    	"/css3/scss/ *.scss"
    ]
}

 

위처럼 세팅을 마치면 아래처럼 .map파일은 더이상 생성이 안되고, 확장 스타일과 압축 스타일 두가지로 생성된다.

확장 스타일과 압축 스타일은 필요에 따라서 사용하면 된다.

:: scss와 css는 복잡해지지 않도록 위치를 다르게 표현해 주었다.

 

settings.json파일을 생성한 후의 모습

 

:: 참고 ::

VS Code 터미널에 출력쪽을 보면 어떤 에러가 있는지도 확인이 가능하다.

Error 확인

 

반응형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HTML ] HTML 특수코드  (0) 2022.11.22
[ CSS / SCSS ] 반응형 정사각형 만들기  (0) 2022.09.29
[ HTML5 ] Anchor 태그 mailto 사용하기  (0) 2022.06.30
[ HTML5 ] HTML5에서 추가된 요소들  (0) 2022.06.25
[ CSS ] IR기법  (0) 2022.04.28

+ Recent posts